
당뇨병으로 인해 눈 속에 생긴 신생 혈관이 자칫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에 걸리면 미세혈관이 정상적으로 순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눈에 혈관과 영양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신옌 혈관이 만들어진다. 그러면 눈에 있는 방수(방수)가 원활하게 흐르지 않고 안압이 높아져 목 내장에 걸릴 수 있다. ‘신생혈관 녹내장’
당뇨병 환자는 2010년 321만3,412명으로 2015년보다 4년 새 28.1% 늘었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당뇨병은 다양한 눈 질환의 합병증을 동반한다.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은 환자의 25%가 당뇨병 망막증을 앓고 있다. 또 당뇨병은 당뇨병성 시신경병증 등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신생혈관 녹내장은 눈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당뇨합병증이다.
백내장, 황반변성과 함께 3대 실명 유발 질환인 녹내장은 안압이 올라가 시신경이 손상되고 이로 인해 시력이 점점 흐트러져 실명하게 된다. 안압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수가 원활하게 돌아가야 한다. 당뇨병 합병증이 눈에 오면 방수 흐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안압이 상승한다.
녹내장은 특히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철에 발병률이 높아진다. 이는 겨울철 급격히 온도가 떨어지면서 눈의 모세혈관이 수축하고 안압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환자 중에서는 60대 이상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노년층 환자가 눈에 띄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녹내장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강자홍 강동경희대병원 안과 교수는 “녹내장 환자 증가 원인은 진단장비 발달로 인한 조기 발견률이 높아지는 점, 건강검진 증가와 인구 고령화, 건강에 대한 환자 관심도 증가 등이 꼽힌다”고 말했다.
신생혈관 녹내장은 녹내장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방수 유출 및 안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방 모서리에 신생혈관이 증식하지 않거나 미세한 정도로 신생혈관이 발생하면 안압이 정상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이 진행되면서 불규칙한 혈관이 방수 유출로 (섬유주) 위를 덮고 방수가 유출되는 통로인 전방각이 유착되면 안압 상승, 안구 통증. 결막충혈, 각막부종 등이 나타난다.
신선한 혈관 녹내장을 치료하려면 우선 당뇨병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또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 정기적으로 안과를 방문해 신생혈관이 발생하고 전방각 유착 전 홍채나 전방각 신생혈관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 이미 홍채에 신생 혈관이 발생하더라도 조기에 발견하면 유리체강 내 주사나 레이저 치료 등 환자 상태에 맞춰 다양한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신생혈관 녹내장이 많이 진행돼 전방각이 이미 유착되거나 일반적인 녹내장과 마찬가지로 안압을 낮추기 위한 안약을 점안하거나 아트립핀 점안제와 스테로이드 안약으로 충혈과 염증을 줄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레이저 광응고술은 시행해 신생 혈관막을 파괴하고 신생 혈관의 진해를 막을 수도 있다.
김종진 금안과병원 녹내장센터 전문의는 “신생혈관 녹내장은 초기에 증상을 발견하기 어려워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이미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당뇨병 환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으로 실명질환인 녹내장, 당뇨망막증 등 눈 합병증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뇨병으로 인해 흥채, 신생혈관 및 전방각 신생혈관이 생기고 각막부종, 충혈이 생긴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