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 : 피로 간호 진단 [casestudy]급성 신부전

사례분석 간호과정 적용사례 대상 : 급성신부전(ARF) 대상자는 CKD 치료한 병력이 있어 오늘 아침까지 식사도 하고 컨디션이 양호하였으나, general weakness 심화되어 응급실에 내원하여 Acute nal failure 진당하에 ICU에 admission하였습니다.

과거력에서 CKD 있는 우쇼우묘 급성 신부전으로 인해 조혈인자 생성에 문제가 생겼고 그로 인해 빈혈로 인한 피로가 있어 ‘피로’라는 간호진단을 내렸습니다.

제 자료가 무조건 옳은 것은 아니므로 참고하는 용도로만 읽어보시고 추천드립니다!!

(PC 화면으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시:X/XX간호 진단#2. 신장 기능의 손상으로 인한 빈혈과 관련된 피로 주관적 객관적 자료 S:NoneO:● 진단명 Acute renal failure(급성 신부전), hyperkalemia(고 칼륨 혈증)● 과거 경력:CKD(20XX년)● V/S:BP 145/69)▲-HR 66-RR 20-36.0℃-SP02 100%● RBC 2.20(10^12/L)▼ Hb 7.0(g/dl)▼ Hct 24.1(%)▼ ● BUN 87.2(mg/dl)▲ Cr 4.36(mg/dl)▲ ● ABGA:pH 7.25▼ – PaCO2 40.6mmHg– PaO2 60.6mmHg▼ – HCO3-16.8mEq/L▼ ● 처방에 따라서 수혈 받는 것이 관찰된 것 ● 힘 없는 모습으로 앉아 있거나 바닥에 자고 있어 전반적인 활동성 저하된 모습 관찰된 것을 목표 장기째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Hb12(g/dl) 이상 유지해야 한다.단기 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RBC, Hb, Hct 수치가 떨어지지 않고 유지한다.계획 및 이론적 근거 ● 2시간마다 V/S 모니터링 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서맥과 저혈압은 빈혈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보상기전이다.)●, 근무 시마다 섭취량, 배설량을 측정하여 모니터링한다. (섭취나 배설량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 균형 파악하기 위해서다. 신장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CBC 검사를 실시하여 RBC, Hb, Hct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빈혈로 인해 Lab 검사상 RBC, Hb, Hct 수치 이상 소견을 보일 수 있음) ● 처방에 따라 적혈구 생성 인자를 투여하여 부작용을 관찰한다. (급성신부전으로 적혈구 조혈인자 생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 적혈구 생성인자를 정맥에 투여한다. 부작용은 고혈압 발병 및 악화이므로 이를 감시한다.) ● 필요에 따라 수혈과 투석을 수행한다. (심한 만성빈혈(Hb수치6(g/dl) 이하의 경우 수혈을 할 수 있으며 대상자는 신기능장애로 인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고 노폐물 제거를 위해 투석을 고려할 수 있다. CRRT는 급성 신부전 환자 중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견디기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해 점진적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변화시킨다.) ● 안정적이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한다.(너무 밝은 빛, 소음, 방문객, 주변 잡동사니 등 자극적인 환경에서는 이완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면과 휴식에 방해받는 것은 대상자를 피곤하게 하는 원인이 되므로 수면시간에 소리, 빛 등의 자극을 최소화한다.)●신부전을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식사 시 보조한다. (음식 섭취가 결핍되면 조혈 기능이 방해되고 나아가 만성 쇠약과 피로를 겪게 되므로 식사 섭취를 증진시키는 간호가 필요하다. 너무 피곤할 경우 식사 시 보조하여 식사 섭취를 돕는다.) 수행 ● 2시간마다 활력 조짐을 측정하였다.● 매 근무별로 섭취량,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X/11I/O=1400/675=+725ccX/122150/1755=+395ccX/131050/920=+130cc)▼매일 일반화학검사를 실시하여 RBC, Hb, Hct 수치를 관찰하였다. (X/11RBC 2.22(10^12/L)▼-X/132.95(10^12/L)▼7.1/1/1/1 평가일 : XXXX)●H (5/10 RBC2.20(10^12/L)▼Hb7.0(g/dl)▼Hct24.1(%)▼성인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 #급성신부전 #피로간호진단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