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화산 폭발?화산재 낙하에 대비한 비국민 행동 요령

통가의 화산 폭발로 백두산, 후지산의 화산 폭발도 불안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합니다.

맥 테크놀로지 AFP연합뉴스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일이지만.. 그러기엔 우리는 너무 막강한 두산을 곁에 두고 있으니 어느 정도 마음의 준비?아이들에게 충분한 대처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 보입니다.손 놓고 보는 것보다 무섭다고 회피하기보다는 #백두산 화산 폭발 가능성을 우리도 더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합니다.

출처 : 에듀넷 휴화산에서 활화산으로 변경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나는 90년대 화산에 대해 배울 때 백두산을 휴화산으로 배웠습니다.우리 아이들은 백두산을 활화산으로 배우고 있어요.2012년 일본의 화산 전문가 다니구치에는 2019년까지 68%, 2032년까지는 99%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주장했습니다.2011년에 발생한 일본의 대규모 ‘동일본 대지진’ 판운동의 영향과 역사상 백두산 분화의 시기적 연관성을 근거로 이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윤성효 교수(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는 북한의 2차 핵실험(2009년 5월 25일) 이후 2010년 2월 두만강 유역에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하여 백두산 지하 1층의 마그마가 천지 아래 2㎞ 부근까지 접근한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이분들 외에도 중국, 러시아 등 국가에서 비슷한 주장을 내놓은 지 10년이 넘었습니다.

사진은 kbs 방영된 다큐멘터리의 일부 화면입니다.

출처 : kbs 우리와 같은 일반 국민은 이화산 폭발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정부가 할 일을 하고 국민은 우리와 너무 가까운 두 곳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과 화산 폭발 상황이 만약 발생할 경우 이에 대비하기 위해 화산 폭발에 대비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화산재 낙하 대비 행동 요령을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소방방재청에서 2019년에 준비해 둔 국민행동요령입니다.

<화산재 낙하 대비 국민행동요령>

  1. 화산재 낙하 전 준비사항
  2. 화산재가 계속 내리면 몇 시간, 경우에 따라 며칠 동안 외출하지 못할 수도 있다.화산재 낙하에 대비하여 아래에 안내한 물품을 집에 준비해 둔다.
  3. ○ 방진 마스크와 방호 안경
  4. ○ 최소 3일분의 충분한 음료(일당 약 4리터)
  5. ○ 가족과 반려동물을 위한 최소 3일분의 충분한 보존식
  6. ○ 랩(전화제품에 화산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7. ○ 배터리용 라디오나 예비 배터리○휴대용 램프나 손전등, 예비 배터리
  8. ○ 추울 때를 대비하여 스토브용 예비 연료
  9. ○ 추울 경우를 대비하여 여분의 담요와 따뜻한 의류
  10. ○ 가족 단위 및 반려동물용 예비 의약품 ○ 구급함
  11. ○ 청소도구(빗자루, 청소기와 교체용 쓰레기봉투·필터, 삽) ○ 현금자동지급기나 은행이 이용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해 소액 현금
  12. ○ 자동차 내에 갇힐 가능성이 있으므로 차내 방재용품을 준비
  13. 2) 미리 취해야 할 행동
  14. ○ 문이나 창문을 닫다.
  15. ○ 물을 묻힌 수건을 문틈이나 환기구에 둔다. 실바람이 들어가는 창문에는 테이프를 붙인다.
  16. ○ 깨지기 쉬운 전화 제품에 커버를 하고 주위의 화산재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커버를 정리하지 않는다.○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받이나 배수관을 지붕의 홈 삽입으로부터 분리한다. 홈 넣기도 막히지 않도록 화산재와 물이 땅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17. ○ 급수용으로 빗물수집시설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산재가 내리기 전에 그 수렴시설과 탱크에 연결된 파이프를 분리시킨다.
  18. ○ 만약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 천식의 경우는 실내에 머물러 불필요하게 화산재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19. ○ 가축의 식량이나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미리 확인한다.
  20. ○ 자녀가 있을 경우 학교 방재계획에 관심을 갖고 실내에서 지낼 수 있도록 게임이나 놀이를 준비한다.

3) 화산재 낙하중에 할일

○ 패닉에 빠지지 않고 냉정하게 행동한다.

○ 실내에 머물다.

○ 야외에 있을 경우 대피시설(차량이나 건물 등)을 찾는다.

○ 마스크나 손수건 또는 옷으로 코와 입을 가린다.

○ 화산재가 낙하 전 예보를 들었을 경우 직장에서 귀가한다.

○ 작업 중 화산재가 내리기 시작할 경우 화산재가 멈출 때까지 실내에 머문다.

○ 비상연락을 하지 않을 경우 전화선을 분리한다.

○ 자신이 있는 지역의 라디오 방송을 듣고 화산 분출과 청소 계획 정보를 모은다.

○ 각막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콘택트렌즈(contactlens)를 착용하지 않는다.

○ 물에 화산재가 들어 있으면 침전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빗물을 사용한다.급수시설에 다량의 화산재가 들어 있으면 식기세척기나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다.음료수에 화산재가 들어 있어도 맛이 나쁘지 않으면 대부분의 경우 건강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가정정원에서 재배한 채소는 먹어도 무방비이지만 먹기 전에 자주 씻는다.

출처 : 소방방재청

화산재 낙하 대비 국민행동요령 #소방방재청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