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즈 설정 방법에 따라 해보세요. 넷플릭스 자막이 달린 글꼴

넷플릭스 자막이 달린 글꼴 크기 설정 방법을 따라해보세요. 글/사진: 마늘 먹는 곰 T 사용자가 줄었지만 여전히 앞장서고 있다.

요즘 집집마다 OTT 서비스 하나쯤은 꼭 이용하고 있는 것 같아요.

OTT는 Over The Top의 약자로, 여기서 Top은 셋톱박스, 즉 정규 TV 케이블 서비스가 아닌 제3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넷플릭스를 비롯한 왓챠, 웨이브 등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유통하고 서비스하는 플랫폼이죠.

새로운 콘텐츠 부재, 또 상당히 과잉으로 느껴지는 월액 때문에 사용자 수가 크게 줄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넷플릭스는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게 ‘선점’인데 한 달 프리 사용을 통한 사용자 확보에 성공했기 때문에 지금의 가입자 수를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플랫폼에서도 양질의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는데, 우리 뇌리 중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넷플릭스인 걸 보면 마케팅은 대성공했다고 할 수 있죠?

실제로 멤버십 요금제를 정해놓고 어떤 걸 볼지 고민 끝에 한 달이 지났다면 한 번은 있었을 겁니다.

선택지가 워낙 많다 보니까 특정 드라마나 영화의 평점이나 스토리라인, 흥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한 달이 소모되는 거죠.따라서 넷플릭스 월액 이상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시청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기서만 제공되는 드라마(영화)를 보는 것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일단 특정 작품을 보기로 하고 정주행을 결심했다면 다른 부가적인 세팅도 병행돼야 합니다.

여러 요소가 있지만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넷플릭스 자막입니다.

자막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설정한다.

외국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자막입니다.

자막 글씨체(글꼴, 글꼴)가 어떤 스타일이냐에 따라 가독성 차이가 매우 많이 납니다. 단순히 자막이 내일 아침체인지 고딕체인지, 이탤릭(기울기)인지 볼드(굵게)인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커집니다.

예를 들어, 매우 두꺼운 선을 가진 고딕체와 적정화의 굵기를 가진 고딕 두 개의 서체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두꺼운 글씨체는 글씨가 두꺼워 글씨 각각 하나씩 인식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쉽게 피로해지는 스타일입니다.

괜히 본 본문의 글씨체를 얇은 그림의 명조체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외화를 볼 때 표시되는 자막 스타일입니다. 가장 기본형이라고 할 수 있죠.

시청하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인치 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편입니다. 모니터의 인치수(해상도 크기)에 비례해 자막의 크기가 결정되는군요.

큰 인치 수와 높은 해상도 또는 작은 인치 수와 낮은 해상도의 모니터로 그에 맞는 크기로 표시됩니다.

일반적인 고딕체 자막이 조금 균일하게 느껴집니다. 너무 자주 보고 있기 때문에 조금 질리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에 분위기 전환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자막 변경을 시도해보았습니다.어차피 보는 작품, 가독성이 좋다면 더할 나위 없을까요?

구글에 나와 있는 대로 고객센터 > 검색창에 ‘자막’ 입력 > 관련 메뉴를 찾아 들어가봤지만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 자체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정확히 말하려고 해도 전혀 찾을 수가 없었어요. 아니면 분명히 존재하지만 제가 찾을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따라서 몇몇 웹사이트나 블로그에서 안내하는 방법은 옳지 않은 정보로 나타났습니다.

계정 설정에 들어가서 아무리 관련 항목을 찾아도 자막 세팅을 할 수 있는 곳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가장 예쁜 방법은 아래 도메인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netflix.com/ 뒤에 subtitle preferences를 붙여 입력하고 접속 즉시 자막 설정이 가능한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너무 예쁘죠? 도메인을 영어로 직접 하나하나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에 이것이 더 효율적이고 쉬울 것입니다.

이런 형태의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으면 제대로 도메인 주소를 입력했습니다.

글꼴 형태, 그림자 효과 스타일, 문자 크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막을 돋보이게 표현하기 위해 배경을 붙일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볼 수 있는 회색 배경을 상상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글자체는이렇게되어있습니다. 즐겨찾기를 선택하면 위의 예시문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사이즈는 포인트 숫자 형식이 아닌 작게/중간/크게 밖에 선택되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중간과 크게 중간을 선택할 수 없어요. 작거나 중간 사이도 마찬가지입니다. 저처럼 조금 까다로운 분은 조금 불편하실 수도 있어요.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