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구미내분비내과 김두환내과의원입니다.콜레스테롤이라고 하면 누구나 친근하게 느낄 정도로 잘 알려진 말입니다.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몸에 나쁘다고도 알려져 있기 때문에 콜레스테롤 자체가 나쁘다고 알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하지만 모든 지방이 반드시 나쁜 지방이 아니듯 콜레스테롤도 그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콜레스테롤은 세포 형성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호르몬을 생산하여 몸에 필요한 비타민을 만드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을 한 가지 생각하기 쉽지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하나는 HDL이라고 불리는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고 다른 하나는 LDL이라는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 있습니다.단순히 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나쁜 콜레스테롤, HDL(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좋은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로 보입니다.

◆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텔롤(HDL) HDL(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좋은 콜레스테롤로 불리기도 합니다.HDL(고밀도리포단백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서 쓰고 남은 지질을 청소하는 역할을 합니다.LDL(저밀도리포단백콜레스테롤)을 다시 간으로 전달하고 분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모든 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 높아지는 것을 방어하면서 뇌졸중이나 심장마비와 같은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 질병의 위험을 높이는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릅니다.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이 너무 많아 혈관에 쌓이면 혈관 통로가 좁아집니다.동맥에 쌓여 혈관을 좁히면 뇌와 심장으로의 혈류에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해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액 속에 지방(지질성분)이 많은 상태, 즉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상태를 ‘고지혈증’이라고 합니다.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혈관이 좁아지고 혈류가 줄어듦에 따라 다양한 위험을 낳게 됩니다.
◆ 고지혈증 진단기준 ▶ 총콜레스테롤 240mg/dL이상▶ LDL콜레스테롤 160mg/dL이상▶ 중성지방 200mg/ dL초과
총 콜레스테롤은 200mg/dL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며 LDL(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100mg/dL보다 높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고지혈증의 진단 기준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이 수치를 초과하면 고지혈증의 전 단계에 들어갔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때부터 혈관이 위협받을 수 있어 다양한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그리고 HDL(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치가 40mg/dL보다 낮아지면 지질을 청소하는 기능이 부족해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다만, 이러한 수치는 평균적인 수치입니다.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질병이나 신체 상태에 따라 기준이 되는 수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은 유전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생활습관’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집니다.최근 저탄고지와 같이 지방 함량이 높은 식단을 활용하는 다이어트가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고지혈증이 반드시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포화지방이나 트랜스지방을 섭취하는 것이 고지혈증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섭취에 주의가 필요합니다.포화지방은 붉은 고기, 치즈, 크림 등에 포함되어 있어 고지혈증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트랜스 지방 또 다른 위험한 지방으로 트랜스 지방을 들 수 있습니다.액체 상태였던 식물성 기름을 고체 상태로 만들 때 수소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기는 지방이 트랜스 지방입니다.주로 케이크, 감자튀김, 팝콘처럼 가공식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트랜스지방은 심장병, 암 등 위험한 질병의 원인이 되는 만큼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에도 운동이 부족하거나 과체중인 경우에도 고지혈증이 상대적으로 발생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마른 체형에도 발생할 수 있지만 비만인 체형일수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경우가 많아 심장병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일정 수준 높아져도 별다른 증상이 없기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그래서 콜레스테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미국과 유럽에서는 성인이라면 5년 정도 주기로 혈액 검사를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구미내분비내과 김두환내과에서도 혈액검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검진을 할 수 있습니다.혈액검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건강관련 검진을 받으신 후 1년이 넘은 경우 본원에 내원하여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구미 김두환내과입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병원인 김두환내과를 소개합니다….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