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 인공위성 관련주 :: 세트렉아이 주가 전망

안녕하세요 넓고 얕은 경제지식을 제공하는 도치맘입니다.

우주항공 관련주는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아서 공부했어요. 누구나 한번쯤은 막연히 우주에 대한 환상, 공포, 동경 등 여러 감정을 느껴보셨을 겁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이렇게 핫해진 이유도 로켓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화성에 도시를 건설한다든가 우주 관광 상품을 만든다든가.이러한 자극적인 내용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더욱 받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자극적인 내용이 아주 비현실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하나씩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주항공산업이 ‘꿈의 영역’에서 기업 주도의 수익모델로 바뀌고 있습니다. 공상과학소설에나 나올 법한 것들이 이제는 돈이 보이는 산업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거죠. 우주산업이 본격화된 이유로는 재사용 로켓 기술 개발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재사용 로켓으로 인해 발사 비용이 낮아져 우주산업이 경쟁력을 갖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주산업이 성장했을 때 가장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회사인 센트럴렉아이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지구관측위성 출처 : DART 세틀렉아이 ‘분기 보고서’ 참고 세틀렉아이를 설명하기 전에 인공위성에 대해 간단히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인공위성은 로켓을 사용하여 대기권 밖으로 발사된 지구 주위의 원 또는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비행하는 인공 물체를 말합니다. 비행하는 궤도의 고도에 따라 크게 정지위성과 이동위성으로 나뉘며 사용목적에 따라 통신위성, 방송위성, 기상위성, 과학위성, 항해위성, 지구관측위성, 기술개발위성, 군사위성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세트레키아이가 주력으로 하는 분야가 지구관측위성입니다.

지구 관측 위성이란 지구의 궤도를 돌면서 지구를 관측하는 인공 위성을 말합니다. 군사용 정찰위성과 비슷하지만 자연탐사, 환경감시, 지도작성 등 비군사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위성을 말합니다.

아래 표는 세계 위성 산업 분야별 규모를 비교한 표인데 지구 관측 위성은 이중 위성 제조업에 속합니다.

2019년 기준 세계 위성산업 규모가 2,707억달러(약 300조원)인데 이 중 위성방송, 통신, 인터넷, 원격탐사 등 위성서비스 분야와 위성네트워크장비, 위성방송장비 등 지상장비 분야 비중이 93%에 달합니다. 위성 제조업은 지구관측위성, 통신위성, 항법위성, 군용감시위성, 과학기술위성 등을 제조하는 시장으로 위성산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로 작지만 위성산업의 근간이 되는 필수품에 해당합니다.

지구관측위성시장에 대하여 Euroconsult사가 발간한 Satellite-Based Earth Observation Market Prospect sto 2028(2019.10)에 따르면 동 시장규모는 2009~2018년 연평균 35억달러 규모에서 2019~2028년 연평균 5억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연평균 5.0%의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지구관측위성시장 전망은 다음과 같은데 위성수 증가세보다 위성제조분야 매출규모 증가세가 낮은 이유는 위성제작단가 하락과 소형위성 중심의 수요 증가 등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지구 관측 위성 제조 시장은 4개의 수요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관측능력을 높이기 위해 위성카메라의 해상도와 위성체의 기동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꾸준히 개발하고 있는 우주산업 선진국의 고성능 중대형 위성수요
  2. 2. 지구관측능력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려는 개발도상국의 중저해상도를 포함한 고해상도까지의 중소형 위성의 수요
  3. 3. 지구관측위성을 통해 위성영상을 상업적으로 공급하려는 상용위성 운영기업의 위성수요
  4. 4. 다수의 위성으로 위성영상을 실시간으로 취득/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를 판매하는 상용위성운용 벤처기업의 위성수요
  5. 이 중 상용위성운용 벤처기업은 최근 5~6년 전부터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해 ‘뉴 스페이스’ 시장을 창출하고 있어 위성 수요자들이 정부 중심에서 중저해상도 영상을 대량 판매하는 민간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세트렉아이 소개 출처 : DART 세트렉아이 ‘분기보고서’ 참고 세트렉아이는 위성시스템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설립되었으며, 2008년 코스닥시장 상장 승인을 받아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국내 최초의 위성인 ‘우리별 1호’를 개발한 KAIST 연구 인력을 중심으로 설립되었습니다.
  6. 세트렉아이는 해외 정부 고객 중심의 중소형 지구관측위성 시장을 핵심시장으로 삼고 1차 목표시장으로는 중동과 동남아, 2차 목표시장으로는 중앙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꼽고 있습니다. 이 지역 내에서 기존 고객인 아랍에미리트, 터키 등에서의 후속 위성 프로그램과 신규 고객군인 카자흐스탄,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알제리 등을 유망 고객으로 선정하고 영업활동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7. 한국의 경우 아리랑 위성, 차세대 중형 위성 등 정부 주도의 위성 사업으로 위성 시스템 사업 또는 부분품 단위 사업 등 참여 가능한 분야를 목표 시장으로 하고 있습니다.
  8. 굳이 말하자면 세틀레키아이는 앞서 언급한 4개 수요군에서 2번 개발도상국의 중저해상도를 포함한 고해상도까지의 중소형 위성 수요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9. 과거에는 소수의 국가에서 대형, 고가 위성을 여러 기 발사하고 그 영상을 판독관 다수가 분석하는 방식이었으나 재사용 로켓 개발 등으로 가격이 낮아짐에 따라 지구 관측 역량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려는 개발도상국의 필요 및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분석하는 새로운 정보를 판매하는 벤처기업의 증가로 중동과 아시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관측위성의 성장과 수요가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10.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화질인데 해상도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현재 지구궤도상에 있는 관측위성 중 해상도가 가장 좋은 위성이 0.3m급인데, 세트렉아이에서 개발 스페이스아이티는 0.3m급 해상도를 가진 지구관측용 소형위성입니다.

출처 : 중앙시사매거진 ‘한국 뉴스페이스 시대의 주역 김이욱 센트럴렉키아이 대표’ 2020.10.23

회사와 업계에 따르면 스페이스 아이티는 경쟁 제품과 비슷한 수준(8090%)의 해상도를 갖췄지만 무게는 약 47배 가볍고 가격은 약 3.5배 싸다고 합니다.

출처 : E2DAY ‘세트렉아이’, 0.3m급 초고해상도 인공위성 기술 확보…’상용화 준비 완료’ 2019.10.25

막사, 보잉, 에어버스 같은 글로벌 기업의 타깃이 유럽이나 북미 시장이라면 세트렉아이는 기술력 대비 가격경쟁력으로 중동과 아시아 신흥국 중심의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세트렉아이의 주가, 전망, 실적 세트렉아이의 주가는 7월 2일 기준 54,400원으로 전날 대비 0.93% 상승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세트렉아이 주가는 지난 1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세트렉아이 지분을 30% 이상 인수하면서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최고가 83,900원까지 기록했고 이후 서서히 하락해 보합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의 통신기술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의 발사체 중심의 기술력에 더해 세트렉아이의 위성 본체 기술력까지 더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트렉아이는 정부 주도의 우주산업이 주요 수익원으로 코로나19가 실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요. 지난해 매출액 892억원, 영업이익 137억원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산 기술로 우주로켓을 만드는 ‘누리호 프로젝트’가 2010년 3월 시작해 11년 만에 사실상 성공을 거뒀고, 3월 25일 마지막 성능시험을 통과해 10월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누리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저궤도 실용위성 발사용 로켓으로 향후 개발할 중궤도 및 정지궤도 발사체와 대형 정지궤도 발사체의 기술적 기반이 될 예정입니다. 세트렉아이 국내 고객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인 만큼 10월 누리호 발사는 세트렉아이 주가 상승의 모멘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올해 5월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간에 약속된 탄도미사일 개발 규제 한미 미사일 지침이 종료되면서 한국의 미사일 개발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민간인 우주관광 시절 영국 부호 리처드 브랜슨이 설립한 우주여행사업회사 버진 갤럭틱이 미국 연방항공국으로부터 첫 우주관광 면허를 취득했습니다. 이것은 상업용 우주선에 고객을 태울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버진 갤럭시는 11일 우주비행선 VSS Unity를 발사해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보다 먼저 우주로 향하게 됩니다.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는 첫 우주 관광인 ‘뉴 셰퍼드’ 유인 캡슐을 6월 20일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리처드 브랜슨의 버진 갤럭시,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 오리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등 민간 우주 관광 사업이 박차를 가하며 민간인 우주 관광 시대를 알리고 있습니다. 물론 일반인도 떠날 수 있을 정도로 비용이 줄어들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제가 죽기 전에는 갈 수 있겠죠? 갈 수 있을까요?그럼 오늘은 우주항공 관련주 세트렉아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사실 우주에 관심이 많은 저의 사심을 가득 담아서 글을 올렸는데

업계에서는 세트렉아이 자회사인 SIIS와 SIA가 내년쯤 IPO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SIA는 위성영상 판매 및 서비스업을 하고 있으며, SIA는 인공지능 기반의 위성/항공영상 데이터 분석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민간 우주 관광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우주 항공 산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두에 말씀드렸듯이 이제 우주항공산업이 꿈의 영역이 아닌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관심을 가지고 주목해 주시면 투자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당 포스팅은 종목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부탁드립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