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독증의 증상, 원인 (w. 관리방법) 고혈압 부종

안녕하세요. 쿠리토리 형제입니다.

오늘은 임신 기간 중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한 질환인 임신중독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임신중독증이란: 전자간증 or 자간전증 영어로는: preeclampsia

출처 : 구글 이미지 임신중독증은 3대 임산부 합병증 중 하나로 임산부와 태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질환입니다.*임산부 3대 합병증 : 임신중독증, 출혈, 색전증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으로 임신기간 중 혈압이 상승하고 다양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전자간증 또는 자간전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신중독증의 증상은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납니다. 임신중독증 진단 기준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혈압입니다. 고혈압+단백뇨 증상이 함께 나타나면 임신중독증으로 보고 있습니다.

임신중독증이 위험한 이유! 임신중독증은 임산부의 장기가 손상되고 경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임산부에게 매우 치명적이기도 하며 임신중독증으로 인해 조산, 태반 조기박리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태아에게도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임신중독증 증상 체중증가, 부종, 시력감소, 소변량감소

임신중독증 증상체크

✔체중이 일주일 만에 급격히 증가한다.✔얼굴이나 손, 다리가 심하게 붓는 등 붓기가 심해진다.✔부은 부분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돌아오는 속도가 느리다.✔눈이 뿌옇게 보이는 등 시력장애가 나타난다.✔두통이 심해진다.✔ 구역질과 구토를 동반한다.✔ 소변량이 감소한다.

임신중독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먼저 고혈압이 있습니다.

  1. 고혈압 최고 혈압이 140mmHg, 최저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임신중독증일 수 있습니다. 임신 전이나 임신 20주 이내에 고혈압이 발생하면 만성 고혈압, 20주 이후에 발생하고 출산 12주 이내에 정상이 되면 임신성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2. 붓기는 임산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지만 손, 발, 얼굴의 붓기가 하루가 지나도 가라앉지 않고 위 그림과 같이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원래 상태로 빨리 돌아오지 않으면 임신중독증을 의심합니다.

3. 단백뇨 단백질은 신장에서 흡수되지만 신장 기능의 저하로 인해 모체에 단백질이 흡수되지 않으면 소변으로 나옵니다. 하루 종일 본 소변 속에 단백질이 300mg 이상 나오거나 6시간 간격을 두고 검사한 결과 100mg 이상일 경우 단백뇨를 의심합니다.혈압이 정상이고 붓기도 없는 산모에게서 단백뇨가 나오면 일단 임신중독증으로 간주합니다.

4. 시력 임신 중독증에 걸리면 몸이 붓고 망막도 부어 시야가 흐려져 버립니다. 망막 중심의 황반이 붓는 황반부종이 일어나면 시야의 흐림이 심해집니다. 저도 임신 중에 시력이 떨어져서 근처에 있는 글자도 보이지 않았는데 출산 후 몇 달이 지나고 나서는 금방 회복이 되거든요.

5. 소변량 감소 임신중독증 증상이 있으면 고혈압이 계속되고 혈관이 수축됩니다. 이것은 신장으로의 혈액량을 적게 함으로써 평소보다 소변량이 적어집니다.

임신 중독증의 원인

임신중독증의 가장 큰 원인은 임신 초기 착상 시기인 태반 발달 단계에서 혈관 형성에 이상이 생기고 태반으로부터의 혈류 공급 장애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산모와 태아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고혈압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임신중독증 고위험 산모

산모의 연령이 20세 이전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초산/노산) 비만 산모, 당뇨, 고혈압, 유전적 요인, 또 이전 임신으로 임신중독증이 있었던 산모의 경우 다음 임신에서도 임신중독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신중독증 검사방법

임신 20주 이후 혈액검사인 SFLT-1/PGF 검사를 통해 임신중독증을 알아냅니다.SFLT-1 : 혈관 생성을 억제하는 유전자 PIGF :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유전자

두 유전자의 비율에 불균형이 생기면 임신 중독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임신중독증이 나타나는 산모의 경우 SFLT-1과 PIGF 비율 수치가 증가한다고 합니다.

임신중독증 예방 및 관리방법

-지방질 음식은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 식생활 측면에서 지방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지방질을 많이 섭취하는 식생활은 비만으로 이어지고 관상동맥이나 동맥경화증이 나타날 수 있어 산모의 혈관질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서 체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단백질 보충임신중독증이 있으면 단백질 소변이 잘 생기므로 혈액 속 단백질이 소변에서 많이 배출되는데 특히 알부민이 많이 배출됩니다. 단백질이 많은 고기, 계란 같은 알부민이 많은 음식을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혈액 속 단백질이 떨어져 부종을 악화시킨다고 합니다.

-염분을 줄인다.혈압이 높고 부종이 생기면 몸에 염분이 축적되기 때문에 염분을 많이 먹으면 좋지 않을까요?

-수분은 적당히 섭취한다고 물기를 많이 먹지 않으면 혈액량과 소변량이 더 줄어 좋지 않으며, 또 과식하면 더 붓을 수 있으므로 적당히 조절하여 수분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쿠리토리 형제입니다. 임신을 하게 되면 몸에 다양한 변화가 나타납니다. 그중 하나가 임신…blog.naver.com

#임신중독증증상 #임신중독증검사 #임신중독증원인 #임신중독증혈압 #임신중독증예방 #임신중독증고위험산모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