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말초혈관질환 등 각종 심장·뇌혈관질환 유발, 대표적 위험군, 고혈압일수록 위험한 ‘고혈압 전 단계’ 적정 체중 유지-저염식 등 혈압을 낮추는 생활 습관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말초혈관 질환 등 각종 심뇌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위험인자입니다.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최근에는 수축기 혈압이 130~139㎜(mmHg),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인 ‘고혈압 전 단계’도 고혈압과 마찬가지로 주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혈압 전 단계의 사람은 혈압이 정상인 사람보다 나중에 고혈압이 발생할 위험이 많고 여러 연구에서 심박혈관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고혈압의 원인과 주의사항!

고혈압 전 단계는 고혈압만큼 위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지난 8월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이승환 교수팀과 충남대병원 심장내과 윤영훈 교수가 국내 기준 고혈압 전 단계의 환자군과 정상혈압군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환자군과 정상혈압군을 대상으로 관상동맥경화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도 그렇다.

당시 연구팀은 고혈압 전 단계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관상동맥경화증 발생 위험이 1.3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혈압의 전 단계가 관상동맥경화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고혈압 전 단계에서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었다고 말한다.

증세 없이 조용히 다가오는 위험한 생활습관 고혈압

▶저염식 등 건강한 식습관의 생활화

식습관을 바로잡는 것도 고혈압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국이나 찌개 김치 젓갈 등 젓갈을 즐겨 먹는 한국인은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는데 이 나트륨이 고혈압을 유발하는 강력한 위험인자다.따라서 가급적 소금을 적게 넣은 저염식 요리를 섭취해야 한다.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칼륨(kalium)과 칼슘(calsium)이 풍부한 과일과 야채 등을 듬뿍 섭취한다.또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고 혈압을 높이는 포화지방은 삼가야 한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고혈압이 걱정이거나 고혈압 전 단계인 사람은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다.운동을 한다고 혈압이 바로 떨어지지는 않지만 체력을 유지하면 몸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개선돼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걷기, 조깅, 사이클링, 수영 등 유산소운동을 숨이 찰 정도의 속도로 30분 이상 일주일에 3~4회 정도 한다.

▶금연과 절주 실천

흡연과 음주가 혈압을 상승시킨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정상혈압인 사람의 경우 남성은 하루에 2잔, 여성과 노인은 하루에 1잔까지는 괜찮지만 그 이상은 삼가야 한다.고혈압 전 단계인 사람도 건강을 위해 금연과 절주를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

▶정기적인 혈압 측정(혈압 측정)

고혈압은 별다른 증상이 없으므로 평소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고혈압 전 단계의 사람이라면 더욱 그렇다.전문가들은 30세에 한 번은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편집 : 캔서앤서편집팀 – 정보서울엔가마을카페

‘젊으면 고혈압을 안심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