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가 해체될 가능성도 있다! 1천억 년이 지난 후…

최고가 되겠다는 약속은 미래를 위한 지스트의 약속입니다.

먼 훗날 태양계가 해체될지도 모른다…?

생각만 해도 상상이 가지 않아요.

정말 태양계가 해체되는 걸까요?

또, 그 시기는 도대체 언제쯤일까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약 1천억년 후 태양이 사멸하기 전에 태양계가 먼저 해체된다고!?

어떻게 이런 흥미로운 이론이 탄생했는지 궁금하시죠?

UCLA 천체물리학부 정진구 연구팀은

과거에 이루어진 연구가

태양계를 초기에 변화시킬 수 있다

몇 가지 중요한 계산 요소를 떨어뜨렸다고 지적했어요.

‘다체 문제(n-body problem)’와 ‘섭동이론(pterturbation theory)’을 탈락시켰다는 것입니다.

대체 문제란?!

세 개 이상의 천체가 만유인력 작용 하에서 서로 어떤 운동을 하는지에 대해 논하는 문제이고,

섭동 이론이란

다른 천체의 인력 때문에 천체가 유지하던 평형 상태가 흔들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여러 천체끼리 궤도에 영향을 주면서 복잡한 상황이 벌어져 정확한 계산이 어렵습니다!

앞으로 50억 년에서 70억 년 후

수명이 다되어가는 태양은 (울음) 점점 팽창하면서 많은 물질을 방출하고

원래 질량의 절반 정도만 남아 백색왜성이 되고 말지만,

이처럼 백색왜성을 앞둔 태양이 부풀어오르면서 그 크기는

현재 지구와 화성 궤도의 중간 부분까지 커져

태양과 가까운 곳에서

수성과 금성, 그리고 지구까지 삼킬 수도 있대요!

연구팀은 태양에 흡수되지 않고 유일하게 살아남는(?) 행성, 화성은

질량이 작기 때문에 전태양계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을 제외한 나머지 행성에 초점을 맞추고,

10가지 ‘N체 시뮬레이션(N-bodysimulation)’을 실시해 보았습니다.

연구팀은 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남은 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 대한 태양의 중력 지배가 점차 약화되면서

이 네 행성이 태양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이 행성들은 태양보다 서로의 중력 영향을 더 많이 주고받게 된다고 봤습니다.

이상한 사실은,

10개의 시뮬레이션을 돌려본 결과,

모두 비슷한 결과를 향해 진행됐다는 거예요!

시뮬레이션은 한동안 이 4개 행성이 안정적인 공명을 유지하고,

300억 년 정도 지난 후에는 궤도가 뒤엉키기 시작해 떠도는 행성이 될 것으로 봤습니다.

결국 이 과정을 거친 후

현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만 남아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합니다.

목성만이 약 500억 년 동안 자리를 지킬 예정이라고 합니다. 쓸쓸하겠다.

그러다가 1천억 년이 지나면 태양계에는 더 이상 어떤 행성도 남아 있지 않게 됩니다.

하지만 이 시뮬레이션 결과가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

다만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이 시뮬레이션에서는 몇 가지 변수를 제외하거나 단순화했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변수를 반영할 경우 태양계 해체가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알렸습니다.

너무 먼 미래에 대한 가정인 만큼 현재로서는 정확히 어떻게 이 과정이 진행되는지 알기 어렵다는 겁니다!

하지만 우주에 대한 연구가 항상 흥미롭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네요.

카드뉴스 내용은 사이언스타임스 기사<약 1000억년 뒤 태양계가 해체된다?>>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제작되었습니다.

기사를 자세히 읽으러 간다!

●약 1000억년 뒤 태양계 해체된다? 태양계 진화과정 후반부 예측 결과 발표 2020.12.100 7:26 심창섭 객원기자의 찜프린트 축소 확대 수세기 동안 과학자들은 우리 태양계가 언제, 어떻게 사라질지 찾으려 노력해 왔다. 새로운 시뮬레이션 연구에 따르면 태양이 완전히 사멸되기 전에 태양계가 해체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 시기도 기존 예상보다 훨씬 앞당겨진 약 1000억년 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달29일 과학매체 사이언스알랫(sciencealert)은 UCLA 천체물리학부 박사과정생 존징크(JonK…www.sciencetimes.co.kr(심창섭 객원기자, ‘약 1000억년 후에 태양계가 해체된다?’>, 사이언스타임스, 2020.12.10.)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