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카본은 동성화 인텍과 같이 LNG 보냉재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원래는 낚싯대나 골프채를 만드는 데 필요한 카본시트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었으나, 그 사업 영역을 LNG 보냉재 쪽으로 넓혀 현재는 산업재(LNG 보냉재, 절연 적층물 등)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카본은 LNG 보냉재가 현금인출이며, 이 곳에서 확보한 현금흐름에 따라 UAM(도시항공교통), 항공기 및 자동차 경량화 부품소재, 배터리 팩케이스 등의 신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따라서 한국카본에 대한 포스팅도 LNG 보냉제 파트와 신사업 파트로 나누어 진행할 예정입니다.먼저 이번 파트는 많은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봐주시는 LNG 보냉제입니다.

초저온 단열재 사업은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LNG(액화천연가스)를 저장/수송하는 데 필요한 초저온 단열재를 생산/공급하는 사업입니다.LNG는 기체가 아닌 액체 형태로 보관해야 하므로, 초저온(영하 163도)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왜 선박 연료가 LNG로 변화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동성화 인텍 포스팅을 참고하십시오!). 만약 제대로 보냉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온도가 높아 LNG가 기화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기술 요구 수준이 매우 높아 LNG와 저희 회사 측에서는 매우 높습니다.
LNG 보냉재에 대해 좀 더 설명을 덧붙이면, LNG 보냉재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LNG를 어떻게 보관하는가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달라집니다만, 좌측이 모스탱크 방식으로, 우측이 멤브레인 방식(마크 3 or NO96 방식)입니다.


우선 모스 탱크 방식은 볼 모양의 탱크를 배에 탑재하는 것으로, 탱크와 배의 동체가 분리되어 있는 독립된 구조입니다.따라서 충돌이나 좌초 등 선박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선박과 탱크가 분리돼 있어 탱크가 파손될 가능성은 낮고 2차 피해 위험은 적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단, 건조비가 멤브레인 방식(마크3 or NO96 방식)에 비해 높고, 구형이 선박 밖으로 나와 전방 시야가 좋지 않고, 공간 이용 효율이 낮아 대형 선박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 때문에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한편, 멤브레인 방식(마크 3 or NO96 방식)은 상자 형태로 LNG를 보관하며, 선박 내부에 탱크가 있습니다.건조비가 저렴하고 공간이용효율이 모스방식에 비해 우수하며 대형 선박에 비교적 맞는 유형으로 현재 대부분의 LNG 선박이 이러한 멤브레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여담이지만, 멤블렌 방식은 프랑스의 GTT사가 처음 개발하여 라이선스 비용을 조선회사로부터 받을 수 있는데, LNG 선가의 5% 정도를 라이선스 비용으로 조달한다고 합니다. 조선사에 관심있는 분은 여러 번 본 뉴스죠.현재 대우조선해양은 NO.96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은 마크 3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크3용 보냉재에 들어가는 부품의 종류는 멤블렌/R-PUF/FSB/RSB가 있는데, 현재 동성화 인텍은 Triplex 종류(FSB, RSB)를 제외한 멤블렌과 R-PUF(강화폴리우레탄폼)를 생산하고 있습니다.한편, 한국카본은 보냉재의 2차 방벽 부품소재인 Triplex에 각별한 강점을 보이고 있는 기업입니다.

LNG 보냉재(멤브레인) LNG 보냉재의 구조는 보온병과 거의 같은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LNG선은 선체에 직접 단열재를 설치해 화물탱크를 만들었는데(프랑스 GTT사의 멤브레인 방식), 처음에는 단열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누수방지용 2차 방벽과 1차 방벽의 멤브레인 시트를 붙이는 구조입니다.
LNG를 보관하기 위한 온도가 극저온이므로 화물선 내외의 온도 차는 200도를 초과해 버립니다.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엄청난 수축과 팽창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축과 팽창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2차 방벽 소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카본은 보냉재에서 가장 중요한 2차 방벽 부품인 Triplex를 독점 공급하는 기업입니다RSB (Rigid Secondary Barrier) 자체 개발에 성공하여 전 세계에서 한국 카본이 이를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프랑스 기업들이 독점 공급하던 2차 방벽무품 FSB (Flexible Secondary Barrier) 도 국산화에 성공하여 점유율을 50% 수준으로 높였다고 합니다.

이런 트리플 렉스는 LNG 한 척당 30억원짜리 고부가 제품으로 유리섬유와 유리섬유 사이에 알루미늄을 넣는 구조입니다.FSB는 유리 섬유와 알루미늄 사이에 고무를 추가하는 것으로, RSB는 패널 조인트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결국 한국카본은 LNG 선박의 보냉재 공급에 따라 그 매출과 영업이익이 연동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020년에 매상고와 영업이익이 큰폭으로 상승한 것은, 보냉재를 납입하는 선박의 대수가 20년만에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과거 (Mark3 삼성중공업 그룹) LNG선 수주로 LNG 보냉재 납품 스케줄을 시뮬레이션 해보면 2019년 17~21척 정도였던 보냉재 남자가 2020년 36~43척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안타깝게도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21척~23척과 21척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향후 카타르, 모잠비크 등에서의 LNG 선박 추가 수주를 감안하면 23~24년에는 2020년이 넘는 실적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카본의 보냉재 사업부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다음 포스팅에서는 신사업 부문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이 블로그는 훌륭한 기업의 사업 모델과 공모주 실권주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하나보다는 둘이 낫고 둘보다는 셋이 낫다는 말이 있죠.혼자서 공모주/실권주/주식을 공부하는 것보다 많은 이웃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더불어 이웃이 되고 서로 소통하며 발전하는 훌륭한 투자가로 함께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INTRO. 왜 조선업에 투자해야 하는가?INTRO – 왜 조선업에 투자해야하는가? 현대중공업이 9/17 상장하였으며, 공모가 60,000원 대비 종가는 … blog.naver.com 1. 파인 베스틸 – 인버티드 앵글 기존의 Intro 포스팅에서 조선업에 왜 투자해야하는지를 설명하였습니다. 다만 대형 조선 3사는 재무건전성 blog.naver.com 이전 문장에서 파인베스트르는 조선업황 개선을 가장 빨리 체감할 수 있는 기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버…blog.naver.com2. 동성화 인테크-LNG 선박 보냉재 및 연료탱크 동성화 인텍의 사업부문은 크게 PU 단열재 사업부문과 가스 사업부문으로 나뉩니다. ( ※PU = 폴리… blog.naver.com 전문으로 동성화인텍은 LNG선박에 들어가는 보냉제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향후 카타르…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