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출원 활기 자율주행 기술 선점하라 ADAS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현대차와 벤츠, 혼다 등 일부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조건부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추진되면서 주행 상황에 맞춰 운전자를 지원하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술 선점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nb..www.fnnews.com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관련 특허출원 6년 새 3배 증가

현대차와 벤츠, 혼다 등 일부 완성차 업체를 중심으로 조건부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가 추진되면서 주행 상황에 맞춰 운전자를 지원하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기술 선점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특허 주요 5개국(IP5)에 출원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관련 특허는 2013년 2000여건에서 연평균 약 20%씩 늘어 2019년에는 총 6000여건에 달한다.

국가별 ADAS 관련 특허출원 비율은 중국(30.7%), 미국(27.6%), 일본(20.8%), 한국(10.6%), 유럽(10.3%) 순이다. 출원인 국적별로는 일본이 38.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16.5%), 유럽(15.9%), 한국(14.9%), 미국(11.8%) 순이었다.

기업 출원을 보면 도요타, 현대, 혼다, 닛산 순으로 일본과 한국 완성차 업체의 출원이 많았다. 보쉬와 덴소, 만도, 히타치 등 자동차 부품업체가 뒤를 잇고 있다.

국내 기업의 경우 자동차 제조사 외에 LG, 삼성 등 전자업체의 출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스트래드비전, 씽크웨어와 같은 중소기업의 특허출원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미국의 등록특허를 기준으로 특허경쟁력을 살펴보면 미국은 기술영향지수(해당 특허권자의 등록특허가 후속특허에 따라 평균적으로 인용된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완전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기술에서 앞서고 있다. 일본은 시장확보지수(해당 특허권자의 등록 특허수 대비 패밀리 진입 국가수)가 높아 편의성과 안전성 향상을 통한 시장 선점에 더욱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시장확보지수에서 평균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기술영향지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돼 자율주행차 시대에 대비한 기술력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인실 특허청장은 “ADAS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관련 출원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심사를 통해 관련 기술개발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의 감지장치를 통해 주행상황을 인식해 운전자에게 위험상황 등을 자동으로 알리고 속도조절 등 일부 운전기능을 자동화한 기술을 말한다.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적응형 크루즈 제어(ACC·Adaptive Cruise Control) △스스로 주차하는 자동주차보조시스템(SPAS·SmartParking Assist System) △주행차로를 벗어날 경우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차선이탈경고시스템(LDW·Lane Departure Warning) 등이 실용화됐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