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문명의 이기인 GPS, 차량 내비게이션 등 이처럼 GPS가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이 육상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돼 보급됐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실은 육상보다 약 40년 앞서 선박에서 항해 중 자선의 위치를 파악할 목적으로 개발돼 항해 계기로 널리 사용됐다. 글 : 나성진 박사(<매드로스가 쓴 77가지 배 이야기> 저자)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가 육상의 여러 기기에 폭발적으로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길 안내는 물론 측량, 지도 제작 및 군사용과 개인용 휴대전화에도 장착돼 이용된다. 우리의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문명의 이기가 되었다.선박에 설치된 항해용 GPS 수신기이처럼 GPS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 시스템이 육상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어 보급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사실은 육상보다 40여년 먼저 배에서 항해 중인 자선의 위치를 파악할 목적으로 개발된 항해 계기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GPS의 원조는 NNSS(Navy Navigation Satellite System해군 위성 항법 장치)이지만, 이것은 1964년부터 미국 해군에서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사용했지만, 1967년부터 민간에 공개하고 일반 상선도 이용하기 시작했다.GPS의 정확한 위치와 시간을 동시에 제공하는 점이다.이 시스템의 원리는 지구상의 중간 고도로 인공 위성 24개를 날렸고 각 궤도마다 4개의 위성을 배치하고 그 중 21개의 위성을 사용하고 3개는 예비용으로 사용.지구상 어디에서나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고 위치를 정하되, 도플러(Doppler)원리에 의해서 생기는 주파수 차이를 적분하고 위성과 관측자들과 거리 차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서 선박 위치를 요구한다.선박에 GPS를 탑재하고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충돌, 좌초 등의 해난 사고가 크게 감소하고 무엇보다 항해사의 격무를 줄였다.민간용 GPS는 운영자 측에서 군사용보다 정확도가 낮도록 조정해 통상 200m 정도 오차가 발생한다. 이런 오차를 줄이기 위해 DGPS 시스템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 오차를 5m로 줄일 수 있게 됐다. 선박에 GPS를 탑재해 위치 파악이 가능해지면서 충돌, 좌초 등 해난사고가 크게 감소했고 무엇보다 항해사 격무를 줄였다. 위성항법이 항해사들에게 선박 위치 측정의 편리함을 주고 항해 당직 부담을 크게 줄였지만 한편 외로움도 있다. 아침과 저녁에 별을 따고 오전에 태양을 관측해 정오 위치를 찾고 낮에도 달과 별을 찾아내 위치선을 그리며 별의 이름을 외우던 낭만을 지금의 항해사들이 느끼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NNSS와 GPS가 선박에 보급하기 전에는 육지가 보이지 않는 대양을 항해할 때는 항해사들이 섹스턴트(Sextant)에서 태양과 달 그리고 별을 관측하고 선박의 위치를 요구하는 천문 항해가 통상의 방법이었다.그러나 이 새로운 전자 기기가 보급될 천문 항해 시대는 사실상 종말을 고했다.선박에 GPS가 보급된 후는 최근에는 해양계 대학의 항해학과조차 천문 항법이 필수 과목이 아니고 선택 과목으로 되어 사실상 천체 관측 법을 배우지 않다고 한다.물론 GPS가 개발되기 전에도 오메가, 데카 및 롤랑 등의 전파 항해 시스템이 있었지만 현재의 GPS정도로 정확하지 않고 사용 지역도 제한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넓은 사용되지 않았다.참고로 현재 위성 항법 시스템은 미국의 GPS와 러시아에서 개발한 “그로나스”(GLONASS)이 운용 중이며 유럽 연합(EU)에서 “갈릴레이”시스템을 개발 중인 한국도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위성 항법이 항해사들에게 선박 위치 측정의 편리함을 주고 항해 당직 부담을 크게 줄인 반면에 외로움도 있다.아침과 저녁에 별을 따고 오전에 태양을 관측해서 정오 위치를 찾아 낮에도 달과 별을 찾아내고 위치선을 그려별의 이름을 기억하고 있던 낭만을 지금의 항해사들이 느끼지 못하는 점이 아쉽다.천체 관측에 사용된 섹턴트(Sextant)수십 년 전 우리 해군 사관생도들을 태운 훈련함대 2척이 원양 항해를 떠났다. 당시 위성항법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시대이므로 선박 위치 측정은 당연히 천체 관측에 의존했다. 따라서 천측이 가능한 해양대학교를 졸업한 초급 장교 1명씩을 양쪽 군함에 태웠다. 이들은 매일 오전 당직에 임하면서 태양을 관측해 정오 위치를 산출했는데 양측 선박의 위치가 두 배의 거리만큼 차이가 나 항상 정확해 모든 장병이 놀랐다고 한다.* 해당 콘텐츠는 단행본 <마드로스가 쓴 77가지 배 이야기(나성진, 삼호광고기획)>에 실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단행본 <마드로스가 쓴 77가지 배 이야기(나성진, 삼호광고기획)>에 실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단행본 <마드로스가 쓴 77가지 배 이야기(나성진, 삼호광고기획)>에 실린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