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기 쉬운 교통용어 정리차선과 차선, 구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단어 중에는요, 사람들이 헷갈리기 쉬워서 잘못 쓰는 것들이 많이 있어요. 그 중 하나가 차선과 차선 등의 교통 용어입니다. 오늘은 차로와 차선 등의 용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선과 차선

각각의 단어를 살펴보면요 그 뜻을 잘 아시는 분들도 실제로 대화를 할 때 잘못 사용하는 용어 중에 하나가 차선과 차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차도는 도로가 차량 등이 지나갈 수 있도록 차선을 구분한 부분을 말합니다. 그래서 도로에 그어진 선을 차선이라고 해요. 차선을 구분하기 위해서 차선을 끌어놓은거에요.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가 한 차선으로 달리고 있다 라는 것은 틀린 표현이죠. 자동차가1차선에서달리고있다라는표현이맞습니다.

또한도로의차선수를말할때편도○차선도로,왕복○차선도로이런표현을많이쓰는데요.왕복2차선이라면차선수가2개이고상하차선이각1개씩있다는거죠.

왕복 2차선은 편도 1차선으로 보여집니다만, 반드시 왕복 차선의 절반이 편도 차선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도로 안에는, 한쪽 차선이 다른 쪽에 비해 많은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경부고속도로의 경우 상행과 하행 차선수가 다른 구간이 있습니다

인터체인지와 갈림길

출처 – 카카오맵 나들목과 분기점도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만, 나들목은 나들목을 부르는 한국어로 고속도로와 일반도로를 연결하는 도로가 나들목입니다. 주로 시내 도로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할 때는 인터체인지(IC)를 통과하게 돼요.

반면 갈림길은 JC의 한글 표현으로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잇는 도로를 말합니다 JC나 갈림길보다는 분기점이라는 말을 더 많이 들었던 것 같아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다른 고속도로로 진입한다면 갈림길을 이용하게 될 것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