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RD Burning sense/reflux Sx. 그러나 내시경에서 관찰되는 식도 점막이 정상일 경우 환자의 50% 정도에서 24시간 식도산도 검사는 정상 소견
기능성 속쓰림 식도풍선팽창이나 전기적 자극에 대하여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에 비해 낮은 통증감각역치를 나타내는 식도과민성은 기능성 속쓰림의 주요 메커니즘
원인: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 자극 위산, 담즙산의 역류와 같은 화학적 자극 식도 확장, 종주근 수축, 식도운동의 기계적 자극
복통의 기전구심성 미주신경 및 척수신경(내장신경) 경로는 위장관으로부터 감각에 관한 정보를 전달·일반적으로 통증이 아닌 연동운동과 같은 생리적인 수준의 내장내 신호는 미주신경으로 전달·기계적 팽창에 의한 급성통증은 척수신경에 의해 전달
미주신경 말단은 점막 내에 존재 → 위장관 내부의 자극에 직접 반응하는 척수신경 말단은 근육층과 장간막에 존재 → 팽창 등의 기계적 자극에 반응
통증을 계속 자극하면 통증에 대한 반응이 변화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명 중추성 감작을 위해 Ex) 뜨거운 온도 자극 후 팽창 자극하면 통증 악화 이번 연구) 위산 투여 후 팽창 자극하므로 통증 증가 위에 염증이 발생하면 그로 인해 위내 팽창 자극에 대해 과민성 유발
산유발성 염증이나 손상은 식도구심성 신경섬유의 반응성을 변화(다만 염증의 정도와 증상의 정도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수용체의 위치에 따라 3군으로 분류 점막수용체: 휴지기에는 반응이 없고 점막의 급성 염증이나 손상 후 유리되는 5-HT와 같은 물질에 활성화 장력수용체: 식도벽장력에 대해 반응을 보이며 2차성 연동운동을 일으키거나 식괴를 감지척수구심성 경로: 불쾌감이나 통증과 같은 감각을 중추신경계에 전달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4;10:90-91]
쥐 실험 결과 위의 염증은 위산에 대한 과민성을 유발한다
내장 감각 변화가 상복부 불쾌감의 원인일 수 있다.이미 위에서의 팽창 자극이 불쾌감을 유발하는 것은 실험적으로 증명됐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정상적인 쥐와 염증을 유발한 쥐의 위장에서 위산과 같은 화학적 자극이 상복부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관찰한다.
위염이나 위궤양은 위내산 투여에 대한 통증 반응을 증가시킨 쥐의 실험을 통해 급성의 강한 화학적 통증 자극은 내장 신경이 아닌 미주 신경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판명 점막 손상에 이은 위내산 투여에 대한 과민성은 상부 위장관 증상의 발현에 있어 화학적 자극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추정
기능성 소화불량의 원인으로 위장의 감각과민성(gastrichypersensitivity)이 주요 메커니즘 중 하나인 과거에는 위를 팽창시키는 기계적 자극에 의한 내장과민성을 주로 강조 이번 실험에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서 위내 위산이나 담즙 등을 투여했을 때 증상 유발 → 화학적 자극이 위점막의 과민성 유발(중추성 감작) 위벽내 염증이 신경성장요소 발현 증가 → sodium channel의 변화로 구심성 증가
따라서 평소에는 위산에 의해 증상이 유발되지 않았더라도 갑자기 위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위내 환경이 바뀌면 위산이나 기계적 팽창 자극에 민감해지고 이것이 상복부 불쾌감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