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2편이다. 출연의는 강동 경희대병원 류마티스 관절내과 성란 교수다.통풍 치료제

통풍약은 크게 두 가지 약재로 나뉜다.

- 급성 통풍 치료제 > 콜히틴과 비스테로이드제 소염제가 있다.

2)요산저하제(요산치저하제)>요산형성억제제와 요산배설촉진제가 있다.

급성통풍발작이 나타나면 우선 통증과 염증반응을 줄이는 급성통풍치료제를 쓴다. 이렇게 통증이 사라지면 통풍의 근본적인 문제인 요산 수치를 낮추기 위해 요산저하제를 사용한다.

체내 요산치가 높아지는 것은 체내 요산 합성과 요산 배출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요산저하제의 중요한 산형성 억제제는 체내 요산이 합성되는 것을 막아 요산 수치를 줄여주는데 이 약은 혈압약처럼 평생 복용해야 한다.

또 다른 요산저하제인 요산배설촉진제는 요산이 신장에서 재흡수되는 것을 막아 체외로 잘 배출되도록 한다.

각각 약제에는 부작용이 있지만, 요산 저하제의 경우, 발진, 구토, 간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내재하고 있다.

급성통풍 치료제의 경우 구토 위궤양 근육통 심장마비 발진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복용 전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다.소홀해지기 쉬운 통풍약 복용 통증에 시달리다 약을 먹으면 통증이 좋아지고 요산 수치가 조절되는데 이때 약 복용을 소홀히 하면 문제가 생긴다.

50대 통풍 환자는 2018년 통풍 발작으로 6개월간 치료를 받은 뒤 상태가 호전돼 약 복용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내원 당시 요산치는 9.2mg/dl(남성 정상 7mg/dl 이하, 여성 정상 6mg/dl 이하)이었으나 반년간 치료를 받아 4.6mg/dl로 감소했다.
이 시기에 증상이 없어 괜찮을 줄 알고 약을 끊었기 때문에 3년이 지난 현재 요산 수치가 8.6mg/dl로 증가했다.

초음파상은 차분한 요산결절이 확인된다.

통풍 환자들은 평생 약을 먹어야 한다는 점과 약 복용에 따른 호전으로 환자가 임의로 약을 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약을 끊으면 통증이 없는 동안에도 요산이 쌓이고 시간이 지나면 합병증을 일으킨다.통풍QNA

술 중에서 맥주만 조심하면 되는 거야?A)맥주는 다른 술에 비해 요산 수치가 높지만 알코올 자체가 요산을 배출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즉, 모든 종류의 술은 요산 수치를 높이므로 삼가야 한다.

Q)커피로 통풍 예방이 가능한가?A)커피는 카페인이 있든 없든 모두 요산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커피 안에 과당이나 설탕이 많을 경우 요산이 증가할 수 있다. 무설탕 커피를 마시는 게 좋겠어.

Q) 통풍약 평생 먹어야 하나?A) 음식물 외에도 생활 속에서의 대사활동 중에도 요산이 발생하기 때문에 요산조절제는 평생 먹어야 한다. 또 환자의 90%가량은 요산 배출에 문제가 생겨 요산이 올라가므로 약을 몇 주 동안 먹지 않아도 이전으로 돌아가게 된다.통풍과 요로 결석

30대 환자는 증상이 없이 지내다 요로결석으로 통풍을 발견한 경우다.

CT 사진을 보면, 신장에 1센치, 요관에는 6.5밀리 정도의 요로 결석이 뇨의 배출을 막고 있다. 요산치는 9.5mg/dL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요로결석과 통풍의 관계에 대해 볼 때 혈액을 통해 이동하는 요산은 신장으로 가장 많이 배출된다. 즉, 체내에 요산이 많아질수록 신장으로 배출되는 양도 커진다.

이것이 신장의 실질에도 쌓여, 소변을 배출하는 요로에도 쌓여, 요로 결석으로서 나타나는 일이 있다. 즉, 통풍이 원인으로 요로 결석이 결과가 된다.

요로결석이 신장 기능을 악화시키면 통풍이 악화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환자는 요로결석 제거 수술을 받는다. 수술 과정을 살펴보면

오른쪽 신장과 오른쪽 요관에 있는 요로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방광을 통해 내시경을 넣고 요관을 따라 와이어를 밀어 넣는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결석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여 포집한다.

똑같이 콩팥에 들어가서

레이저로 요로결석을 분해한 후

포집하여 체외로 배출시키다.

결석을 뺀 뒤에는 카테터를 넣어 방광과 신장에서 소변 배출 여부를 점검한다.

요관내시경으로 결석에 접근하여 레이저로 분해하여 체외로 배출시킨 요로결석이다 일반적인 결석에는 칼슘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배출시킨 요로결석은 분석 결과 요산성분 원인에 의한 결석으로 밝혀졌다. 통풍에 의한 요로결석이다.
물론 모든 요로결석을 통풍과 연관지을 수는 없다. 요로 결석(결과)을 분석해, 원인이 통풍인지 아닌지를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같이 읽으면 좋은 글
[관련기사] 통풍 3편ㅣ통풍에 좋지 않은 음식ㅣ요산 결절제거 수술ㅣ송란통풍 마지막 3편이다. 출연의는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류마티스 관절염 내과 손란 교수,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안… blog.naver.com [관련기사] 통풍 1편ㅣ요산수치ㅣ통풍관절염ㅣ골미란ㅣ송란통풍에 대해 알아보자. 출연의는 강동경희대병원 류마티스 관절염 내과 손란 교수다. 해마다 증가하는 통풍환…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