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기 (1) 녹내장의 정의 《대한민국 최고의 명의가 들려주는 녹내장》

두 번째로 구입한 책은 ‘대한민국 최고의 명의가 들려주는 녹내장(2015)’이다. 손바닥만한 크기밖에 안 되는 작고 얇은 책으로 가방에 넣어 이동 중 읽기 좋다. 첫 책과 겹치는 내용도 있지만 빠진 내용을 보충하는 새로운 정보도 있기 때문에 두 권 모두 꼼꼼히 읽으면 누구나 녹내장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두 번째 책

■ 제목 : 대한민국 최고의 명의가 들려주는 녹내장 (2015) ■ 저자 : 박기호 (서울대학교병원 안과교수) ■ 출판사 : 서울대출판문화원 ■ 정가 : 10,000원

(13-17쪽)

녹내장이란? 우리 눈이 물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물체에서 나온 빛이 투명한 각막과 수정체를 투과해 망막에 연결되고 이로 인한 광자극이 망막에 있는 신경다발과 시신경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영상정보가 뇌에 전달돼야 한다.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을 말한다.

녹내장은 광범위한 질환을 포함하고 있다. 의학적 관점에서 녹내장은 ‘특징적인 시신경의 변화와 시야변화를 동반한 진행성 시신경질환’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질병균이다. 시신경은 눈 속에 있는 다양한 영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전선 같은 역할을 하며, 이러한 시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시야 일부가 가려지거나 보이지 않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시야장애가 진행돼 최종적으로는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시신경은 일단 손상되면 다시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녹내장으로 시력이 소실된 경우 시력 회복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녹내장은 급격히 진행되는 경우보다는 천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적절히 치료하면 실명을 예방하거나 녹내장의 진행 속도를 크게 늦출 수 있다.▶오늘의 한 문장◀

의학적 관점에서 녹내장은 ‘특징적인 시신경의 변화와 시야변화를 동반하는 진행성 시신경질환’으로 정의된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