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한 인텔 CPU의 전력 제한 해제 및 메모리 오버클럭(XMP) 적용법 손쉽게 인텔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자! i7-10700K와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를

오늘은 제목 그대로 AMD CPU에 PBO 시스템이 있으면 인텔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전력 제한 해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텔 10세대 CPU의 특징은 높은 클락과 안정성입니다. CPU오버클럭을 하지 않아도 준수한 성능, 좋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 터보 부스트 기능에 의해 동작 범위내에서의 적절한 클럭 향상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꽤 안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 터보 부스트만으로는 성능이 조금 아쉬운 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근데 오버클럭을 하려면 안정화 보고 하기 귀찮고 그럴 때 쓰면 좋아요.

해제전력은 Z보드가 아니라 일반 B보드(인텔은 Z보드에서만 수동 오버클럭이 된다)가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합니다.

이번 전력제한 해제에 사용된 CPU는 i7-10700K, 마더보드는 기가바이트 Z490 알로즈마스터를 이용하였습니다.

에어컨은 전력 제한 해제라는 간단한 것이므로, 국민 공랭 쿨러, 트리니티 화이트를 이용했습니다.먼저 재기동 후 DEL 키를 연타하면 바이오스가 들어옵니다.

메인보드의 바이오스에 한번도 진입해 보지 않았다면 아마 이렇게 EASY MODE에 표시될 것입니다. F2를 눌러 Advanced Mode에 접속합니다.

상단 탭의 System Info.에서 Langauge 탭을 통해 한국어로 바꿀 수 있으니 필요하면 입력해 주세요!

먼저 메모리 오버클럭의 방법에 대해 간단히 말하면 XMP 프로파일이 있는 경우 Tweaker탭에서 XMP 프로파일을 Enter 후에 프로파일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너무 쉽죠?

수동 오버클럭을 하려면 아래 시스템 메모리 Multiplier에서 값을 지정하십시오. 요즘은 3200Mhz가 무난하게 가는 클락입니다.(물론 저의 본컴 하이닉슬램은…) 각진…)

그런 다음 시스템 메모리 Mu ltiplier 아래쪽에 있는 고급 메모리 설정 -> 메모리 채널 타이밍에 들어가면 건너뛰기처럼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로 들어가게 됩니다.

보통은 16 16 16 36 1T 와 같은 형식으로 (숫자는 바뀔 수 있습니다) 라고 타이밍을 부르지만,

그 순서 가스샷과 같이 채널 표준 타이밍 제어의 CAS Latency(CL), tRCD, tRP, tRAS 값이며,

1T의 T가 붙은 값은 채널 고급 타이밍제어 최하단에 있는 Command Rate(tCMD)의 값입니다. 이들을 참고해 본인에게 맞는 램의 타이밍을 맞추거나 국민램의 타이밍(뭐). 16 16 362T나 18 18 382T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덧붙여서 tCMD값은 2T로 하는것이 성공률이 높습니다!

잠시 후 Tweaker의 첫 페이지에 오셔서 DRAM 전압을 조절해 주시기 바랍니다. 통상 1.35V를 이용하며, 그 이상은 극한의 오버클럭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전력 제한 해제입니다. 정말 간단합니다.

트위커 메인 페이지에서 CPU 고급 설정으로 가서

하단의 터보전력 제한탭을 “활성화”로 설정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하단에 추가 메뉴들이 나오는 겁니다

이 값을 어떻게 조절하면 괄호 안에 Watts라고 쓰여진 메뉴들을 모두 9999를 입력하면 마음대로 최대값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Watts가 있는 값에만 각각의 최대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후 맨 하단에 있는 CPU 코어 전류 제한(Amps) 설정도 최대값을 지정해주십시오.

그런 다음 F10을 눌러 저장하고 제대로 됐는지 다시 확인하시고 나가시면 됩니다. 너무 쉽죠?

실제로 정품과 전력 제한 해제를 각각 비교해서 벤치마크를 해 보았습니다

일단 성능입니다

씨네벤치를 돌렸을 때 성능이 소폭 상승했습니다 후술하겠지만 전력제한 해제로 부스트 클락이 더욱 올라 약간의 성능향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어도비미디어 인코더 220에서 H.265 포맷의 4kUHD 프리셋으로 렌더링을 실시했을 때 전력 제한을 해제했을 경우 3초 정도 빠르게 렌더링되었습니다.

CPU에 강한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벤치마크 툴을 이용하여 쉽게 게임 성능에 변화가 있는지도 보았습니다.

전반적인 평균 프레임은 동일하지만 각 구간을 확대하여 보면 전력 제한을 해제했을 때 보다 유연한 프레임 전환이 그래프 상에 보입니다. 전력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클럭이 소폭 상승하여 보다 안정적인 게임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클락의 경우 시네벤치를 루프시켰을 때의 결과입니다

싱글 코어만 돌릴 때는 자신의 클럭을 유지합니다. 전력제한을 풀었더니 5.0~5.1Ghz 사이를 왔다갔다 순정상태는 4.9~5.0Ghz를 왔다갔다 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전력 제한을 해제했을 때 클럭 유지력과 최대 클럭이 높은 것이 나옵니다.

온도의 경우 전력 제한을 해제했을 경우 전원부의 온도 및 CPU 온도가 소폭 상승됩니다.성능이 소폭 상승한 만큼, 온도도 소폭 상승합니다.

이렇게 간단한 방법으로 메모리 클럭을 높이고 전력 제한을 해제하면 사소한 성능 향상과 안정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