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녹내장 환자는 운동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2)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녹내장을 앓고 있다고 하더라도 운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운동은 녹내장 환자에게도 좋습니다. 특히 유산소 운동은 몸뿐만 아니라 눈 건강에도 좋으므로 속보, 사이클링, 수영 등 약 30분씩, 약간 땀을 흘리는 정도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당한 운동은 녹내장에 좋은 역할을 합니다.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안압을 다소 낮춘다는 보고가 많이 있으며, 꾸준히 운동을 했을 경우에 시야 손상의 진행도 적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연구 출처: 한국녹내장학회 녹내장 운동]
- 근력 운동도 좋지만 격렬한 근력 운동, 특히 얼굴이 붉어지는 정도의 힘을 사용하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눈의 방수(안압을 결정하는 눈 속의 물) 배출은 얼굴의 정맥 압력과 직결됩니다. 즉, 목과 얼굴에 핏대가 서면 정맥압이 높아지면 방수는 배출되지 않고 안압은 상승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안압을 상승시키는 근력 운동은 녹내장 환자에게는 금하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물구나무를 서면 즉시 안압이 34에서 35밀리미터 Hg 정도로 상승합니다. 이런 자세도 마찬가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밖에 넥타이를 꽉 조이는 것, 꽉 작은 고글, 악기의 트럼펫을 부는 것을 금합니다, 또한 근력 트레이닝으로 무거운 역기를 힘껏 들어올리는 것, 팔굽혀 펴기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는 것 등도 안압을 상승시키는 운동이므로 금지하고 있습니다.

녹내장 환자가 헤엄쳐도 돼요?수영을 할 때 사용하는 고글은 안압을 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작은 사이즈로, 눈에 띄지 않으면 안압상승이 커집니다. 하지만 수영을 지속적으로 하는 습관을 가진 사라들이 녹내장 위험도가 더 높은 것은 아니라는 연구도 있었습니다. 한 증례보고에 따르면 정상안압녹내장 환자 중 물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안압이 48mmHg까지 상승하여 벗자마자 정상으로 회복되었다고 보고하고, 녹내장 손상이 심하거나 진행하는 경우에는 물안경의 연속 착용시간을 줄이도록 권장하는 것이 신중한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병 진행 정도에 따라 접근법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녹내장 전문의와 상담 후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출처:한국녹내장학회 녹내장 운동] 녹내장 환자의 자는 자세가 중요합니까?녹내장 환자가 주의해야 할 잠자는 방법은 엎드려 자는 자세입니다. 엎드려 자는 것은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옆으로 누우면 그분의 눈의 시야가 나빠진다는 연구 보고가 있어 옆으로 누울 때는 너무 옆으로 눕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압은 서 있을 때가 가장 낮고 엎드려 있을 때가 가장 높습니다. 또한 앉아 있을 때보다 자고 있을 때가 더 높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눈 속에서 안압과 관련된 방수 배출에 상기의 자세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안압에는 하루라도 변동이 있으며, 녹내장 환자의 변동 폭이 정상인보다 크기 때문에 안압이 급격히 상승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에 관한 녹내장 연구를 보면 수면 무호흡증과의 관련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수면 시 아래에 위치한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성 손상이 더 심한 경향이 있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같은 안압으로 비대칭적 녹내장성 손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 이 점을 참고하여 수면 자세를 교정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연구 출처: 한국녹내장학회 잠자는 자세]
3대 실명 질환이라고 불리고 있는 녹내장이라는 병은 대체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녹내장은 안압이나 혈류 이상 장애 등에 의해 시신경이 약해지고 시야가 점차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뚜렷한 자각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조기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녹내장 안압을 관리하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녹내장은 어떤 사람으로 나타나나요?] 녹내장 환자 운동/수면 자세 자문 : 누네안과병원 서울녹내장센터 이원석원장

서울누네안과병원 이원석원장 진료일정 보기▶
▼ 누네안과병원 녹내장센터 바로가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