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이라고 하면 겁을 먹는 경우가 많지만 갑상샘암(갑상샘암)의 경우에는 조금 다르다.환자별 상황이나 병기에 따라 다르지만 다른 암에 비해 진행속도가 느리고 대부분 예후가 좋아 착한 암으로 불린다.갑상샘암은 남성보다 여성의 34배 정도가 잘생기고 4050대 이상에서 자주 발생한다.
2020년 12월 발표된 ‘2018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18년 국내에서 243,837건의 암이 새로 발생하였으며, 그 중 갑상샘암이 위암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갑상샘암 발생 건수는 남녀를 합해 28,651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1.8%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40대가 27.0%로 가장 많았고 50대 25%, 30대 21.2% 순이었다. 남녀 성비에서는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보다 3.3배가량 많았다. 발생건수도 남성은 6,727건으로 남성 암 중 6위였으나 여성은 21,924건으로 여성 암 중 2위였다. 통계를 기준으로 보면 40대 여성 갑상샘암 환자가 가장 많은 셈이다.
갑상샘이란?=갑상샘이란 목에 위치한 내분비기관이다. 목 앞에 중앙 부분을 만지면 갈빗대나 갈비뼈로 불리는 갑상샘이 튀어나와 있는데 그 아래 23cm 밑에 갑상샘이 있다.나비가 날개를 펼친 듯한 모습이며 왼쪽 잎과 오른쪽 잎, 그리고 두 잎을 이어주는 협부로 이루어져 있다. 잎의 길이는 4~5cm로 폭 1~2cm, 두께 2~3cm로 전체 무게는 15~20g 정도이다.
갑상선의 주된 역할은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 분비하는 것이다. 갑상샘 호르몬은 우리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물질이다.신체의 에너지 대사에 관여해 체온을 유지하고 신진대사를 조절하며 태아, 신생아의 뇌와 뼈의 성장 발달에도 영향을 준다. 갑상샘 호르몬이 과잉 생성되면 몸이 더워지고 땀을 많이 흘려 체중이 줄고 자율신경 기능이 흥분해 심장 박동 수가 빨라진다. 반대로 너무 적거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면 동작이 느려져 추위에 강해지고 체중이 늘고 심장이 뛰는 횟수도 생긴다.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갑상샘암 갑상샘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생기면 갑상샘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갑상샘 모양에 문제가 있으면 갑상샘비대나 갑상샘결절 등으로 진단받는다. 갑상선 결절은 갑상선에 혹(종양)이 생기는 것으로 이중악성이 갑상선암이다.
갑상샘 결과 중 통상 510% 정도가 암으로 진단되지만 조직학적 형태나 암의 기원세포, 분화 정도에 따라 구분된다.갑상샘암에는 여포세포 기원의 유두암 여포암 역형성암 등과 비여포세포 기원의 수질암 림프종 등이 있다. 유두암과 낭포암은 분화갑상선암으로 전체의 97%가량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갑상샘암은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까지 알려진 위험요인은 목 주변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을 경우다. 방사선 누출 사고에 의해서도 갑상선암의 발병 리스크가 증가한다. 방사선에 노출된 나이가 어릴수록, 노출 정도가 클수록 위험도가 높아진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별한 증상, 통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갑상샘암의 증상 갑상샘암은 비교적 서서히 진행돼 환자 스스로 느낄 만한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건강검진 때 의료진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보통은 증상도 통증도 없지만 일부에서는 갑상샘의 크기 증가나 통증, 쉰 목소리,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갑상샘암과 관련해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평소보다 주의가 필요하다. 이 경우 선제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갑상샘 기능은 혈액검사로, 갑상선 형태는 초음파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병원을 찾으면 결절의 크기와 딱딱한 정도, 목 주위에 커진 림프절의 유무 등을 우선 체크하게 된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갑상선 결절의 형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그 영상 소견에 따라서 갑상선암 진단 확률이 다르다.
미세침 흡인세포 검사는 갑상샘암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검사다. 갑상샘 결절이 악성, 즉 암으로 의심될 때 한다. 근육 주사나 채혈을 할 때 사용하는 일반 주사기로 결절에서 세포를 흡입해 (흡인) 채취해 검사하는데 검사비가 싸고 정확도도 90% 이상으로 높다. 의외로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갑상샘 스캔, 경부전산화단층촬영(CT),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을 추가 시행할 수 있다.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고 예후도 좋으며 갑상샘암의 1차 치료는 외과적 수술 절제다. 이후 경우에 따라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호르몬 투여, 외부 방사선 조사, 항암제 등 다양한 방법이 추가로 처방될 수 있다. 갑상샘암은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 치료 예후가 좋은 편이다. 따라서 갑상샘암이 다른 곳으로 전이됐더라도 적극적인 치료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역시 갑상선 절제술이다. 절제 범위는 갑상선암의 종류와 크기, 환자의 나이와 병기 등을 고려하여 정해지며 전절제와 잎절제로 구분된다. 전절제 수술 후에는 갑상샘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평생 호르몬을 보충해야 한다. 잎절제를 한 경우에도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하면 갑상선 호르몬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
갑상샘은 목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술 흉터에 대한 걱정이 많다. 그러나 최근에는 내시경 수술이나 로봇수술 등 절개를 최소화하거나 절개하지 않고 수술하는 최첨단 수술법이 이용돼 목 상처를 피할 수 있다.
종양의 크기, 갑상샘 이외의 침범, 림프절 전이의 위치와 수에 따라 재발할 가능성이 높을 때는 추가로 방사선 요오드 치료를 하기도 한다. 방사선 요오드 치료가 임신에 악영향을 미칠까 걱정하는 경우도 많다. 고용량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반복하면 생리불순, 불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1, 2회 저용량 치료로는 영향이 크지 않다. 단 치료 시 유발된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인해 배란장애, 무월경이나 생리불순, 성욕감소 및 성기능장애 등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은 방사선 요오드 치료 6개월 후, 남성은 3개월 후 임신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