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시장은 2025년 49억달러(약 181조원), 2035년 313조원(약 1조1,204억달러)로 연평균 41.0% 성장률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도 2020년 1,509억원에서 2035년 26조1,794억원으로 연평균 40.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일본 야노경제연구소,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최근 자동차 산업은 단순한 이동 수단에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변혁 중입니다. 특히 자율주행차가 시장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같은 자율주행차 개발을 둘러싸고 관련 업계에 지각변동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특허청의 자율주행 기술 특허 분석 결과에 따르면 완성차 업체, IT 기업, 자율주행 부품 업체가 자율주행 기술 특허 분야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3파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글로벌 IT 기업들이 신규 진입하고 있어 기존 완성차 업체들과 시장 주도권 확보 경쟁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이에 따라 완성차 업체(도요타, GM, 현대차 등), IT 기업(웨이모(구글 자율주행 부문 자회사), 애플, 바이두, LG, 테슬라 등), 자율주행 부품 기업(NVIDIA, 벨로다인, 모빌아이 등 반도체·라이더 제조사)이 특허 출원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완성차업체는 구축된 제조기반을, IT기업은 검색·스마트폰·가전·항법 등 독자적인 강점을, 부품업체는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차 특허권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허청이 IP5(전 세계 특허출원의 85%를 차지하는 선진 5개국[미국·EU·중국·일본·한국]특허청)의 자율주행차 특허출원 동향(2006~2020) 조사결과 완성차업체, IT기업, 부품업체 등 그룹별 선도기업(17개사)의 IP5 국가 내 자율주행 특허출원 건수를 분석한 결과 총 2만4,294건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특허 출원 건수는 전체 24,294건 중 완성차 업체가 13,280건(55%)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어 IT기업은 5,765건으로 24%, 부품업체가 21%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주요 기술별로 보면 완성차 업체는 인지(5,630건)와 제어(5,423건) 기술 분야에서 강점이 있었고 IT기업과 부품업체는 인지(IT기업: 3,704건, 부품업체: 4,663건) 기술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특허출원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IT기업과 부품업체들은 최근 들어 완성차업체보다 일찌감치 특허 출원량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어 향후 특허 주도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특허 출원 순위는 Δ도요타(5,239건), 소니(3,630건), 현대차(3,080건), Δ혼다(2,844건), 69포드(2,069건), ΔLG(2,019건) 순으로 한국 기업인 현대차, LG가 각각 3위, 6위에 랭크됐다.
다특허 출원 순위에서도 소니(2위 3,630건), LG(6위, 2019건), 구글(8위, 1,727건) 등 IT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기업에서는 현대차가 전통적 완성차 업체로, LG는 정보통신기술 등 IT 기업의 강점을 내세워 특허권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현대차의 경우 최근 5년간(2016~2020년) 특허출원 건수(2104건)가 지난 5년간(2011~2015년, 893건)에 비해 2.4배 증가한 반면 LG는 최근 5년간(2016~2020년) 특허출원 건수(1,691건)는 지난 5년간(2011~2015년, 252건) 기간에 비해 6.7배 증가해 더욱 적극적으로 특허출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