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할머니 할아버지에 대한 환상이 있다. 아버지의 부모님은 아버지가 어렸을 때 돌아가셨다. 어머니의 어머니는 내가 7살 무렵에 돌아가셨는데 따뜻한 할머니의 이미지가 아니라 무서운 할머니였다. 유일하게 외할아버지만이 손녀에게 따뜻한 어른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할아버지의 말년도 좋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농사를 지으며 혼자 살 수 있을 때는 문제없었지만 병으로 혼자 살기가 어려워지자 자식들에게 부담이 된 듯 이리저리 떠넘겼다. 한 명이 오래 돌봐주면서 피곤하면 데려가라며 형제간에 다투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할아버지를 찾아갔을 때는 큰아버지가 모시고 계셨는데 손님이 와도 누워계셔서 말보다 기침을 많이 하셨다.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했을 때 노인의 아픈 모습, 슬픈 모습, 외로운 모습을 보며 이렇게 늙어간다는 것은 부담이 되고 비참하고 슬퍼지는 광경으로 비쳤다.
살면서 나이 먹은 사람을 보면 저렇게 늙어가는 것보다 저렇게 늙으면 안 돼. 라는 생각을 많이 했다. 최근 읽은 두 권의 책에서 닮고 싶은 사람을 만났다. 「햇빛은 찬란하고 인생은 소중하기 때문에」의 저자, 유튜버 미라논나, 장명숙씨와 미치 앨범 「Morry와 함께 보낸 화요일」에서 모리.

우리들은 좋은 늙고 좋은 죽음을 당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혜로운 어른들에게 배울 필요가 있다.
첫째, 이들은 마음 부자다. 지금 죽어도 생에 미련은 없는 사람이야.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해 잘 살았기 때문이다. 늙었음을 한탄하지 않고 상황을 완전히 받아들이고 여유가 있다.
둘째, 이기적이지 않고 이타적인 사람이다. 자기 혼자 잘살려는 사람들이 아니다. 본인이 나눌 수 있는 것을 나누고, 죽음을 앞두고도 남아 있는 세대를 위해 헌신을 다한다. 지역사회를 위해 무언가를 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봉사를 한다.
셋째, 넓게 열려 있다. 이들은 그릇이 크고 마음도 열려 있어 전 세대를 막론하고 주변에 다양한 연령대가 모여든다. 그들과 대화하는 것은 즐겁게 경험하지 못한 경험, 지혜를 배운다. 시야가 좁은 어른들과 대화하는 것이 즐겁지 않은 이유는 자신이 살아온 제한된 일을 남에게 강요해서 옳다고 우긴다. 시대가 많이 변해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을 듣고 있기는 어렵다. 이렇게 늙어가면 쓸쓸해질 수밖에 없다구.
넷째, 무겁지 않고 가볍다.욕심에 찬 노인을 생각해 보아라. 짓궂은 놀부가 생각난다.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노력하는 사람, 손해를 죽어도 보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 아이들이 섭섭한 말을 했다며 1시간 동안 나를 붙잡고 내가 왜 아이를 키웠느냐는 사람. 얼굴 표정도 어둡고 무겁다. 똑똑한 어른은 표정도 가볍고 물건도 가볍다. 나는 여기에 유머러스까지 더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똑똑한 어른들이 타이르는 얘기가 있다. 남의 시선에 맞춰 헛살지 말고 정말 나답게! 자신다운 게 제일 좋단다. 터무니없는 추구만 하지 말고 자신만의 문화를 창조하라.
내 나이도 마흔둘, 중년의 나이에 다가오는 노년을 어떻게 살지 생각하는 나이다.
멋진 노인이 되어간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우선 그들처럼 늙어가는데도 당당하게 살고 열정적으로 살아 후손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나라는 사람 스스로 빛나야 한다. 나다움을 잘 알아야 해. 남이 아니라 자신을 알기 위해 탐구하고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열려야 한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존경을 받고 싶어하고, 남에게 존경을 받기 전에 스스로 자신을 존경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들어라.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스스로를 존경할 수 있도록 썩어가는 과정이 아니라 숙성시키는 과정이 아닐까?
#햇살은 찬란하고 인생은 귀하니까 #독서 #머리와 함께한 화요일 #나이 듦은 #중년 #노년 #나이 듦은 #모닝파이브 #새벽기상 #자기계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