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 : 관동맥경화, 협심증 멈추지 않는 엔진과 같은

멈추지 않는 엔진과 같은 심장질환; 관상동맥경화, 협심증, 우리나라는 공공시설이나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자동심장충격기입니다.

영어로 #AED와 크게 사용되고 있고 눈에 띄는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AED는 위급한 상황에 놓인 환자 중 정지해 기능하지 않는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주고 다시 움직일 수 있는 기기입니다.심장이 멈추고 4분 이상 지나면 뇌의 기능을 잃기 시작하고 그대로 지속되면 사람이 죽는다고 합니다.

이런 우리 몸에서 멈춰서는 안 되는 심장!!! 아주 중요한 일로 온몸의 혈액이 순환되도록 돕는 멈추지 않는 엔진인 심장에 대해 알아봅시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이란 보통 자신의 주목보다 양간의 크기로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포함한 혈액을 받아들여 내보내는 기관입니다.이러한 혈액이 아동을 위해 1분에 60회에서 80회 정도 심장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박복하여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시킵니다.이는 자동차에 동력을 전달하는 펌프를 사용하는 엔진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면 심장은 크게 왼쪽과 오른쪽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오른쪽과 왼쪽에는 각각 심방과 심실이 있고 그 사이에 판막이 있습니다.혈액은 심방에 들어가 심실에서 동맥으로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심방/#심실/#판막을 보면 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으로 정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좌심방 우심방 들었죠?좌심방은 폐 정맥과 연결되어 폐에서 산소 교환을 해 온 혈액을 받아들입니다.우심방은 대정맥과 연결되어 전신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입니다.심실은 혈액을 내는 곳으로 동맥과 연결되어 있는데 요강에 있는 수축으로 혈액을 내야 하기 때문에 심방보다 두꺼운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좌심실은 동맥과 연결되어 있어 전신에 혈액을 내보내야 하며 가장 두꺼운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우심실은 폐동맥과 연결되어 폐로 혈액을 보내게 됩니다.판막은 심방과 심실 사이에 심실과 동맥 사이에 있어 한쪽 방향으로만 열려 혈액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혈액이 심방→심실→동맥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입니다.혈액은 심방과 심실이 외만할 때 심방으로 들어가 심방이 수축하면 심실로 이동하고, 심실이 수축할 때 동맥을 통해 폐와 전신으로 이동합니다. ^^

요즘 이렇게 #심장질환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협심증으로 운동을 하면 가슴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심장의 작은 혈관에 동맥 경화가 있고 운동에 의해 부하량이 많아져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관상동맥경화, #협심증, #고지혈증 예방을 위해 항상 신경을 써야 합니다.심혈관질환 예방목적을 위해 한의원에서 한의사와 충분히 상담받고~~ 그에 맞는 한약을 처방받으면 도움이 됩니다. ^^

error: Content is protected !!